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파스타(Pasta)에 대하여 1탄
    식재료 정보 2023. 1. 17. 15:56


    파스타는?

    파스타(Pasta)는 물과 듀럼밀 세몰리나(거칠게 제분한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드는 이탈리아의 면과 이를 이용한 음식 전반을 일컫는다.

    파스타는 최근 듀럼밀의 영양학적 우수성이 인정 받아 급성장 중인 산업이며, 스펠트밀, 호라산밀(카무트), 엠머밀 등 다양한 고대밀을 사용한 파스타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탈리아에서 많이 먹는다. 본고장인 시칠리아 사람들은 거의 우리나라 밥처럼 주식으로 먹는다.

    전세계적으로 퍼지게 된 것은 이탈리아계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건너가 음식점을 차리기 시작하면서 파스타가 다른 지역에 전파되면서 스파게티, 피자 같은 이탈리아 요리들이 전세계에 퍼지게 되었다.


    한국에는 언제부터?

    파스타 인지도가 낮았던 불과 2000년대까지만 해도 스파게티와는 별개로 생각해서 고급 이미지가 있었지만, 프렌차이즈가 생기고 2010년 방영한 드라마 파스타, 대형 유통 마트에서 파스타 재료들을 쉽게 구입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변화가 생긴 2010년대 이후부터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먹방'과 엮어 대표적인 서양 면 요리로 인지도가 급상승 하였다.

     

    패밀리 레스토랑(ex. 아웃백의 투움바파스타)이나 파인다이닝에서도 수요가 있고, 대중 프렌차이즈부터 고급 식당까지 두루 사랑받는 음식이 되었다.

    인기가 얼마나 좋으면 2021년에는 파스타 소스가 소스 판매 기준 2위 까지 오르면서, 간장, 고추장 판매량을 앞지르기도 했었다.

     

    여전히 파스타를 고급 음식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지만, 고급 레스토랑에서나 나올 법한 요리류가 아닌 간편하게 먹는 라면, 짜장면 등과 같은 면 요리로 인식 되고 있다.


    어떻게 만들어질까?

    보통 건면이기 때문에 소면처럼 끓여서 먹는 형태이지만, 생면인 파스타도 있다.

    생면을 반죽할 때는 달걀이 잘 쓰인다. 면을 만들 때 달걀 반죽에도 듀럼밀이 일정 비율 들어가거나 물 반죽에도 일반 밀가루를 섞는 등 여러 조합을 통해 다양한 맛과 식감을 낼 수 있다. 반죽할 때 물을 넣지 않고 달걀만으로 반죽하기 때문이다.

     

    반죽할 때 어떤 재료를 넣느냐에 따라 빛깔이 달라진다. 주로 쓰이는 조합은 달걀 노른자(노란색), 시금치(초록색), 당근(주황색), 오징어 먹물(검은색) 등이 사용된다.

    처음엔 생면이 주류고 건면이 귀했지만, 현재는 압출면에 건면이 절대적으로 흔하다. 중세에는 건면을 2시간 정도 푹 삶아서 먹었지만, 19세기 후반부터 나폴리를 중심으로 중간에 심을 살짝 남기고 삶는 '알 덴테(al dente)' 방식이 널리 퍼졌다. 하지만 한국에서 본고장 방식대로 조리하면 "덜 익었으니 다시 해 달라"는 소리를 하는 사람도 있다.

     


    당뇨 환자에게 좋은 이유

    당뇨환자라면 푹 익힌 파스타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GI 지수가 꽤 차이나니 알 덴테로 익혀 먹는게 좋다. 

    또한 통밀 스파게티는 곡물 중 GI 지수가 가장 낮은 보리와 4 정도 차이나서 현미, 귀리보다도 낮다. 당뇨 환자가 워낙 많아서 오르초, 프레골라와 같은 쌀모양 통밀 파스타의 필요성은 있으나 아직 수입되고 있지 않다.

    실제로 오르초를 전기밥솥에 밥처럼 지어먹기도 한다.

     


    파스타 종류

     
    롱(면)
    링귀네 · 마팔데 · 바베떼 · 부카티니 · 비골리 · 스파게티 · 카펠리니 · 타야린 · 탈리아텔레 · 파파르델레 · 페투치네 · 피치
     
    가르가넬리 · 라디아토리 · 로텔레 · 리가토니 · 마카로니· 말로레두스 · 말탈리아티 · 메체 마니케 · 세다니 · 스키아포니 · 스텔레 · 스텔리니 · 스트로차프레티 · 오르초 · 오레키에테 · 제멜리 · 지티 · 카바타피 · 카사레체 · 칼라마라타 · 캄파넬레 · 콘킬리에 · 쿠스쿠스 · 키페리 · 토르틸리오니 · 투베티 · 트로피에 · 푸실리 · 파르팔레 · 파케리 · 파타토 · 펜네 · 프레골라 · 필레야
     
    스터프드
    뇨키 · 라자냐 · 아뇰로티 · 카넬로니 · 토르텔리니 · 라비올리 · 루마케

    파스타의 종류는 표에 있는 것이 대표적이며, 그 종류는 더욱 많다. 파스타 종류 ← 참고

     

    파스타/종류 - 나무위키

    거의 길쭉길쭉하고 비슷하게 생긴 롱 파스타와는 달리 다 개성있게 생겼다. 푸실리(Fusilli): 나선형 모양의 파스타. 북미 지역에서는 로티니(Rotini)라고 불린다. 오뚜기에선 후실리로 판매된다.파

    namu.wiki

     

    '식재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컨(Bacon)에 대하여 1탄  (0) 2023.01.18
    페퍼로니(Pepperoni)에 대하여  (0) 2023.01.16
Designed by Tistory.